평창 올림픽 기준 메달리스트 포상금 및 혜택 알아보기

Posted by lavita0909
2018. 2. 12. 23:10 생활정보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이 한창입니다. 평소에 스포츠에 관심이 없던 저도 이 시즌만큼은 누구보다 더 관심있게 경기를 챙겨서 관람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제가 궁금해서 먼저 알아 본 올림픽 메달리스트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 검색

 


먼저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기준으로 2월 9일 업데이트 된 메달리스트 혜택 기준이에요. 메달 별로 연금점수와 포상금의 혜택에 조금의 차이가 있습니다.

 



 

 

금메달은 연금점수가 90점으로 연금은 월 100만원 또는 일시금 6,720만원을 선택할 수 있고, 포상금은 6,000만원이라고 해요.

은메달은 연금점수 70점으로 월 75만원 또는 일시금 5,600만원 중 선택 가능하며 포상금은 3,000만원입니다.

다음으로 동메달은 연금점수 40점으로 월 52만 5천원 또는 일시금 3,920만원 중 선택 가능하며 포상금은 1,800만원이라고 합니다.

 



 


전 메달 리스트는 예술·체육요원 복무의 병역 혜택을 받는다고 해요.

 

 

 

출처 :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지급 금액은 위의 표의 점수에 따라서 정해지는데요. 연금의 종류에는 월정금, 일시금, 특별장려금이 있다고 합니다.

 

 

 

 출처 :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먼저 월정금은 해당 국제 경기 대회가 종료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부터 사망한 달까지 매월 20일에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지급 상한액은 100만원이라고 하네요.

 



 

 

 

 출처 :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다음으로 일시금월정금을 선택하지 않은 선수에게 지급되는 금액으로 재차 메달을 획득하는 경우엔 합산된 점수에서 기존 점수를 빼서 산정한다고 하네요.

올림픽 기준으로 금메달은 6,720만원(90점), 은메달은 5,600만원(70점), 동메달은 3,920만원(40점)이라고 합니다.

 



 

 


방금 전 프리스타일 스키 모굴에서 최재우 선수가 착지에 실패하면서 메달권에 들지 못해 굉장히 안타까웠는데요. 4년을 준비한 올림픽이다 보니 더욱 짠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경기를 관람하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도 이렇게 안타까운데 선수 본인은 얼마나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이 들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모든 스포츠가 짜릿하면서도 그만큼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지만 그 중에서도 겨울스포츠가 가장 위험한 것 같습니다. 추운 야외나 실내에서 운동을 해야 하다 보니 에너지 소모가 크기도 하고 부상도 잦은 것 같습니다.

약 3주동안 개최되는 평창 동계 올림픽, 또 그 후에도 연이어 개최되는 패럴림픽까지 많은 선수들이 다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노력한 만큼, 또 운이 따라주어 좋은 성과를 얻길 바라면서 올림픽 메달리스트 포상금 및 혜택 안내 포스팅 마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