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올림픽 기준 메달리스트 포상금 및 혜택 알아보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이 한창입니다. 평소에 스포츠에 관심이 없던 저도 이 시즌만큼은 누구보다 더 관심있게 경기를 챙겨서 관람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제가 궁금해서 먼저 알아 본 올림픽 메달리스트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출처 : 네이버 검색
먼저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기준으로 2월 9일 업데이트 된 메달리스트 혜택 기준이에요. 메달 별로 연금점수와 포상금의 혜택에 조금의 차이가 있습니다.
금메달은 연금점수가 90점으로 연금은 월 100만원 또는 일시금 6,720만원을 선택할 수 있고, 포상금은 6,000만원이라고 해요.
은메달은 연금점수 70점으로 월 75만원 또는 일시금 5,600만원 중 선택 가능하며 포상금은 3,000만원입니다.
다음으로 동메달은 연금점수 40점으로 월 52만 5천원 또는 일시금 3,920만원 중 선택 가능하며 포상금은 1,800만원이라고 합니다.
전 메달 리스트는 예술·체육요원 복무의 병역 혜택을 받는다고 해요.
출처 :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지급 금액은 위의 표의 점수에 따라서 정해지는데요. 연금의 종류에는 월정금, 일시금, 특별장려금이 있다고 합니다.
출처 :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먼저 월정금은 해당 국제 경기 대회가 종료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부터 사망한 달까지 매월 20일에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지급 상한액은 100만원이라고 하네요.
출처 :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
다음으로 일시금은 월정금을 선택하지 않은 선수에게 지급되는 금액으로 재차 메달을 획득하는 경우엔 합산된 점수에서 기존 점수를 빼서 산정한다고 하네요.
올림픽 기준으로 금메달은 6,720만원(90점), 은메달은 5,600만원(70점), 동메달은 3,920만원(40점)이라고 합니다.
방금 전 프리스타일 스키 모굴에서 최재우 선수가 착지에 실패하면서 메달권에 들지 못해 굉장히 안타까웠는데요. 4년을 준비한 올림픽이다 보니 더욱 짠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경기를 관람하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도 이렇게 안타까운데 선수 본인은 얼마나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이 들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모든 스포츠가 짜릿하면서도 그만큼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지만 그 중에서도 겨울스포츠가 가장 위험한 것 같습니다. 추운 야외나 실내에서 운동을 해야 하다 보니 에너지 소모가 크기도 하고 부상도 잦은 것 같습니다.
약 3주동안 개최되는 평창 동계 올림픽, 또 그 후에도 연이어 개최되는 패럴림픽까지 많은 선수들이 다치지 않고 최선을 다해 노력한 만큼, 또 운이 따라주어 좋은 성과를 얻길 바라면서 올림픽 메달리스트 포상금 및 혜택 안내 포스팅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2018/02/11 - [생활정보] - 2018 평창 올림픽 컬링 경기 게임 규칙, 경기일정 알아보기
2018/02/10 - [생활정보] - 2018 평창 올림픽 한국 주요 경기 일정 한 눈에 모아보기!
2018/02/10 - [생활정보] - 2018 평창 올림픽 기념품 굿즈종류, 가격, 판매처 알아보기
2018/02/09 - [생활정보] - 2018 평창 올림픽 주요 경기 일정, 한국경기 알아보기
2018/02/04 - [국내여행] - 서울에서 평창까지 무료셔틀버스 e버스 운행노선, 예약하는 법 알아보기
2018/02/04 - [국내여행] -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서울에서 강릉 KTX 40%할인받기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C 해설자이자 스타벅스 이사인 조슈아 쿠퍼 라모의 망언 내용 알아보기 (0) | 2018.02.15 |
---|---|
2018 설날 특선 영화 tv 편성표 방송사별 총정리 안내 (0) | 2018.02.13 |
2018 평창 올림픽 컬링 경기 게임 규칙, 경기일정 알아보기 (0) | 2018.02.11 |
2018 평창 올림픽 한국 주요 경기 일정 한 눈에 모아보기! (0) | 2018.02.10 |
2018 평창 올림픽 기념품 굿즈종류, 가격, 판매처 알아보기 (0) | 2018.02.10 |